닫기

Q&A

  • 확대
  • 축소
  • 인쇄
KOTITI | 서비스 | Q & A 상세보기

[시험분석] Pilling관련

texjh I 조회수 2929 I 2005.09.20

이메일 :

처리완료
안녕하십니까? 직,편물상 Pilling발생에 가장 영향을 주는 원사물성은 무엇인지(예: 강도 or 신도 or 평활성 or 집속성등), 또, 최적의 물성범위(NY과 PET FY위주로)는 어떤지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동일한 소재(예를 들어 PET)를 사용시 단섬유와 장섬유중 Pilling이 잘 발생하는 쪽은 어느것인지요. 감사합니다.
KOTITI | 서비스 | Q & A 답변 뷰

답변

Tue Sep 20 00:00:00 KST 2005
필링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우선 섬유 상태에서의 요인들을 보면. 섬유장, 섬유의 섬도 및 단면 형태, 섬유강력, 내부섬유 간의 마찰력, 섬유 크림프 등을 열거할 수 있고, 원사 상태에서는 실의 번수, 꼬임 수, 혼용률, 헤어리니스, 합연 수 등이 있습니다. 최적의 물성 범위는 원사 메이커별로 다른 것으로 예상되며, 저희 KOTITI에는 이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그리고 필링은 일반적으로 단섬유 쪽이 더 많이 발생합니다. 필라멘트 섬유들은 보통 필을 생성하지 않지만, 단섬유의 경우에는 섬유장이 짧아질수록 원단의 표면으로부터 섬유단들이 보다 쉽게 유리되어 돌출되어 나오기 때문에 필이 잘 생성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KOTITI 자료실을 방문하시어 관련 자료를 열람하실 것을 권하여 드립니다. 한국섬유기술연구소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안녕하십니까? > > 직,편물상 Pilling발생에 가장 영향을 주는 원사물성은 > 무엇인지(예: 강도 or 신도 or 평활성 or 집속성등), > 또, 최적의 물성범위(NY과 PET FY위주로)는 어떤지 > 알고 싶습니다 > 그리고,동일한 소재(예를 들어 PET)를 사용시 단섬유와 > 장섬유중 Pilling이 잘 발생하는 쪽은 어느것인지요. > > 감사합니다. >
Copyright © KOTITI.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