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분석] 황변 작성자 jeff7423 I 조회수 2938 I 등록일 2006.02.09 이메일 : |
처리상태 처리완료 |
황변과관련된 물질중 BHT가 황변에 관여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섬유 혹은 포장지에 포함된 BHT의 양을 시험하는 방법은
기술표준이 있는것을 확인했습니다.
혹시 BHT가 어는 정도(ppm)함유되어 있어야 황변이 유발되는지 알수가 있을까요?
답변기다리겠습니다.
|
Fri Feb 10 00:00:00 KST 2006
안녕하십니까?
황변의 발생원인들은 여러 가지 있으며, 이 가운데 BHT(Butylated Hydroxy Toluene)와 산화질소와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니트로페놀 화합물 또는 스틸벤퀴논에 의해 황변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BHT의 농도에 관계없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황변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BHT는 사용하지 않으셔야 합니다.
참고로 "Liz-Claiborne" 이라는 바이어에서 규정하고 있는 규격은
"Shoulder Pads (Test Method :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GC-MS) Analysis) : No detection of BHT" 입니다.
한국섬유기술연구소 홈페이지를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황변과관련된 물질중 BHT가 황변에 관여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 섬유 혹은 포장지에 포함된 BHT의 양을 시험하는 방법은
> 기술표준이 있는것을 확인했습니다.
> 혹시 BHT가 어는 정도(ppm)함유되어 있어야 황변이 유발되는지 알수가 있을까요?
> 답변기다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