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래 직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보온율이 큰 것은 수증기의 투과량이 적다. 이것은 여러장의 옷을 겹쳐 입은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따뜻하고 쾌적한 직물을 얻기 위해서 보온성이 크고 수증기의 투과량이 큰 직물을 개발하였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보온성이 큰 직물을 얻기 위해서는 ①사밀도, 두께, 공기층 모두 큰 직물 ②신체로부터의 복사열을 반사해 의복내에 가두는 기능을 갖는 섬유소재 ③열을 방사하는 섬유소재 사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지만 ②와 ③과 같은 소재를 구할 수 없기 때문에 ①의 방법을 응용하기 위해 2층구조직물을 선택하였다. 2)수증기 투과성이 큰 직물을 얻기 위해 ①편성포의 단면구조와 끈적거림 면에 대해서는 포의 단면구조가 다층인 것이 쾌적하기 때문에, 2층구조직물로 하였다. ②의복의 끈적거림에는 섬유의 흡습, 방습, 흡수성 등의 친수성질과 관련이 강하기 때문에 양모, 면, 레이온 흡수 폴리에스테르 등의 친수성이 양호한 섬유를 복합하여 사용한다. ③직물의 물리적 특성면에서는 볼륨감, 함기율, 통기성이 큰 것이 끈적거림이 적기 때문에, 심사의 일부에 굵은 섬도의 수용성비닐론사를 넣고, 고밀도로 커버링한 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