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편성물] 직물 기하 이론 출판일 : 1995.05.05 저자 : Jinlian Hu 서지사항 : Textile Asia, 1995.1, p58-60 등록일 : 2016.11.02 I 조회수 : 336 작성자 : |
직물의 최대 밀도 등 치수에 관련된 물성을 예측하거나 크림프와 제직 각도와 같은 기하학적인 인자들간의 상관관계의 도출, 혹은 hand나 표면 효과 등 직물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직물 기하의 이해가 요구된다. 직물 기하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1937년 Peirce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그는 평직을 대상으로 직물을 구성하고 있는 실은 비압축성이며, 그 단면은 원형이고, unit cell내에서 교차되는 실이 직선적인 부분과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선적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사 간격, 제직 크림프, 제직 각도 및 직물 두께 등과 같은 기하학적인 인자들의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관계식은 비록 실에 대한 여러가지 가정들이 비현실적인 것이라고 하더라도 직물의 밀도가 매우 낮은 경우에는 타당성이 인정되고 있다. 또한 그는 직물의 밀도가 더욱 큰 경우에 대해 실의 단면이 타원형이라고 가정하고 여러가지 기하학적인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한편 Kemp는 직물의 unit cell내의 실이 racetrack 부분을 이루는 것으로 가정하고 여러가지 기하학적인 인자들을 유도하였다. 또 Hearle 등은 unit cell내의 실이 렌즈 모양을 이루는 것으로 가정하고 여러가지 기하학적인 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