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하고 신뢰성있는 감지시스템에 의한 공정의 온라인 수정법은 원칙적으로 제품 특성의 단순한 보고, 또는 기록 차원을 넘어 제어파라미터를 목표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하면, 생지 외관의 변화로 반응해서 즉시 정규형태로 되돌리도록 적절히 유도한다. 또한 가공단계에 따라서 측정의 과제는 많은 제품특성에 관계한다. 칼러일드와 수분함유율의 검사에 덧붙여 상세한 표면의 입체구조는 생지특성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위사 밀도(weft thread density)와 같은 직물구조 (weave structure)에 관한 기하학적 데이터는 실과 필라멘트 섬유의 표면 특성 또는 거칠기 (roughness) 만큼 중요하다. 표면 특성의 측정은 카메라시스템이 바람직하다. 성냥통 정도 크기의 삼각측량법의 unit가 직물속도가 높아도 특정기계의 한계조건하에서 수 MHz 까지의 측정 주파수로 섬유직물 표면의 요철에 대해 명료한 정보를 부여해 준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섬유의 구조에 의해 낮은 해상력의 윤곽(profile) 밖에 부여하지 않는다. 현재 연구실 단계에서 추구되고 있는 1개의 장치는 공학적 profilometry이다. 이것은 작업중의 로울러 표면구조 또는 로울러 윤곽의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