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편성물] 직물특성의 비교연구에 대한 다변동분석법의 적용 출판일 : 1996.04.01 저자 : D. Bishop, D. L. Cox 서지사항 : J. Text. Inst., 1994, Vol. 85, No. 1, p78- 등록일 : 2016.11.02 I 조회수 : 346 작성자 : |
R. H. Gong 등은 172종의 직물을 KES-F로 측정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직물특성 비교연구를 보고하였다[J. Text. Inst., 84, 192 (1993)]. Gong 등은 KES 파라미터 18개로부터 10개를 선택하여 섬유조성, 직물조직, 가공법을 기본으로 해서 172종의 직물을 8개의 그룹으로 줄임으로써 다수 시료의 분석적 난이도를 감소시켰다. 또한 파라미터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치로 계산한 2개의 태값을 비교연구의 기본으로 이용하였다. 이러한 접근의 결점은 KES 파라미터 갯수의 감소를 저자의 판단에 의존한다는 점이고, 또한 평균치의 사용은 개개의 직물의 독특한 특성이 무시시킨다. 다른 분야에서 잘 알려진 소프트웨어(SAS)도 이용가능한 다변동분석법(MA, Multivariete Analysis)을 적용하면 최초 데이터의 손실없는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Gong 등도 검토하고, 172종의 18개의 KES 파라미터와 3종의 태값의 최초 데이터(original data)을 이용해서 MA를 행하였다. 데이터는 표준편차를 정규화해서 각각 측정한 성질을 같은 길이의 벡터로 표시하였다. 이 데이터를 SAS에 부여된 BIPLOT 매크로를 이용하여 도시하고, Gong 등의 직물그룹화에 의해 KES plot과 172종 개개의 직물에 대한 KES plot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