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Q&A

  • 확대
  • 축소
  • 인쇄
KOTITI | 서비스 | Q & A 상세보기

[시험분석] 피혁관련 규제

kavo I 조회수 6517 I 2003.08.13

이메일 :

처리완료
안녕하심니까 궁금한점이 있는데 알지를 못해 이렇게 문의를 합니다. 저희는 피혁을 핸들링을 하는데 바이어쪽에서 피혁에 대한 공해물질 여부를 알아봐 달라고 합니다 탄닝과정이나 염색과정에서 들어갔을지 모르는 크롬, 납, 카드늄등 유해물질 조사인데 이러한 검사도 하시는지요? 그리고 유해물지에대한 우리나라 기준과 국제 공인규약이 어떠한지를 알고 싶은데 아무리해도 찾을 길이 없네요 또 도서안내인가하는 곳에서 관련 정보가 있는것같은데 어떻게 이용을 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다 부탁좀드리겠습니다
KOTITI | 서비스 | Q & A 답변 뷰

답변

Mon Aug 18 00:00:00 KST 2003
안녕하십니까 ? 가죽의 질을 저해하는 요소는 동물도축-염장처리-털제거-지방질제거-무드질(Cr을 이용하여 부드럽게 함)-염색-건조-안료spray의 순으로 가공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염장처리의 기간이 짧으면 짧을수록 high quality의 가죽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하여 미국산 가죽은 예전에는 염장처리를 하였으나 위에서 언급한 이유로 화학약품처리를 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러시아,중국과 몽고 등에서 생산된 가죽은 아작도 염장처리를 하여 한국에 도착하면 질이 낮아 값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실정입니다. 이밖에 지방질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아 염색성을 떨어뜨리고,6가 Cr을 이용하여(현재는 대부분 3가 사용) 무드질을 하면 효과는 좋으나 인체에 유해하므로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선진국에서 규제를 하고 있어 6가 크롬을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나 3가 크롬을 사용하여도 가공단계에서 화학반응에 의하여 6가 크롬이 검출는 경우가 있어 ,제품을 페기하여야 하므로 특히 주의가 요망됩니다. 우리나라는 아직 기준이 없지만 유럽에서는 엄격한 규제를 하고 있는데 Oeko Standard 100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준으로는, 6가 크롬 : 0.5ppm 미만, 그외 크롬 : Baby: 1.0ppm, Direct Contact: 2.0ppm, Indirect Contact : 2.0ppm, Decoration Material :2.0ppm 입니다. 저희 KOTITI에서는 6가 크롬은 물론이고 납, 카드뮴 등 유해중금속 분석과 인체 유해물질 분석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려드리며, 이와 관련하여 의문사항이 있으시면 전화 3451-7101(이상락 차장)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심니까 > 궁금한점이 있는데 알지를 못해 이렇게 문의를 합니다. > 저희는 피혁을 핸들링을 하는데 바이어쪽에서 피혁에 대한 공해물질 여부를 알아봐 달라고 합니다 > 탄닝과정이나 염색과정에서 들어갔을지 모르는 크롬, 납, 카드늄등 유해물질 조사인데 이러한 검사도 하시는지요? > 그리고 유해물지에대한 우리나라 기준과 국제 공인규약이 어떠한지를 알고 싶은데 아무리해도 찾을 길이 없네요 > 또 도서안내인가하는 곳에서 관련 정보가 있는것같은데 어떻게 이용을 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다 > 부탁좀드리겠습니다 >
Copyright © KOTITI.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