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분석] 면직물의 구김 정도 Test방법 작성자 daeiltex I 조회수 6646 I 등록일 2003.11.10 이메일 : |
처리상태 처리완료 |
1) Cotton 100%직물을 착용하였을경우, 구김이 얼마나<br>
적게 발생하는가를 테스트하려면 KSK 및 AATCC <br>
무슨방법으로 하여야 하는지요?<br>
<br>
2) Cotton 100%직물의 세탁후 구김이 얼마나<br>
적게 발생하는가를 테스트하려면 KSK 및 AATCC <br>
무슨방법으로 하여야 하는지요?<br>
3) 테스트 방법중 AATCC124 와 AATCC128 의 다른점은
무엇인지요?
|
Wed Nov 12 00:00:00 KST 2003
안녕하십니까 ?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다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의복을 착용하였을 경우 구김을 판정하는 시험방법은 KSK 0552 및 AATCC 128 이며,
2. 세탁 후 구김을 판정하는 경우의 시험방법은 KSK 0217 및 AATCC 124 입니다.
3. 시험방법 중 AATCC 124 와 AATCC 128의 다른 점은,
1) AATCC 124 : 제품을 소비자가 사용하는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세탁하고 건조하였을때 발생될
수 있는 구김의 정도를 판정하는 방법이며,
2) AATCC 128 : 직물에 임의로 구김을 발생시킨 후 그 구김이 펴지는 정도를 일정시간 후에 판정
하는 방법입니다.
4.참고로 문의하신 100%면직물의 구김을 확인하는 시험방법은 KSK 와 AATCC 가 그 내용이 거의
동일하므로 바이어의 지역에 따라서 선택하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 1) Cotton 100%직물을 착용하였을경우, 구김이 얼마나<br>
> 적게 발생하는가를 테스트하려면 KSK 및 AATCC <br>
> 무슨방법으로 하여야 하는지요?<br>
> <br>
> 2) Cotton 100%직물의 세탁후 구김이 얼마나<br>
> 적게 발생하는가를 테스트하려면 KSK 및 AATCC <br>
> 무슨방법으로 하여야 하는지요?<br>
>
> 3) 테스트 방법중 AATCC124 와 AATCC128 의 다른점은
> 무엇인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