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Q&A

  • 확대
  • 축소
  • 인쇄
KOTITI | 서비스 | Q & A 상세보기

[시험분석] 합섬 직물에 대하여

shpark0070 I 조회수 4075 I 2004.08.27

이메일 :

처리완료
면직물은 평직, 능직,도비직등 알겠는데, 합섬직물은 폰지, 듀스포, 타페트, 등 으로 표기하던데요 어떻게 구분하나요?
KOTITI | 서비스 | Q & A 답변 뷰

답변

Tue Aug 31 00:00:00 KST 2004
안녕하십니까, 폰지(pongee)는 원래는 중국 북부에서 야잠사(野蠶絲)를 써서 수직(手織)으로 제직한 평직물을 칭하였는데, 중국어로서 가정에서 수직한 것을 ‘판지’라고 부르는 데에서 나온 명칭입니다. 또, 인도 각지에서 사염 견사를 경, 위사에 사용한 고급 직물을 평직으로 하여 밀도 1인치당 150올*150올 정도로 제직한 것을 말할 때도 있습니다. 또한 영국의 견직물을 폰지라고도 하며, 생사로 제직한 후, 정련합니다. 듀스포(dewspo)는 문의하신 폰지와 태피터와 비교해 보았을 때, 제일 큰 밀도를 가집니다. 태피터(taffeta)는 경사보다 굵은 위사를 사용하여 경사 밀도를 위사 밀도의 두 배 정도가 되도록 평직으로 짠 필라멘트 직물로써, 위사 방향으로 굵은 이랑이 나타납니다. 위 세 직물을 밀도 순으로 정리하면, 폰지 < 태피터 < 듀스포 로 나타낼 수 있겠습니다. 항상 한국섬유기술연구소 홈페이지를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면직물은 평직, 능직,도비직등 알겠는데, 합섬직물은 폰지, 듀스포, 타페트, 등 으로 표기하던데요 > > 어떻게 구분하나요?
Copyright © KOTITI.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