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분석] 검사의뢰 전.. 문의 드립니다. 작성자 vipgag I 조회수 4026 I 등록일 2004.12.23 이메일 : |
처리상태 처리완료 |
1. 투습도 시험 시 염화칼슘법과 또 다른 검사법이(water??)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차이점이 무엇인지요???
2. 내수도 검사 시 저수압법과 고수압법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3. 공기투과도 검사비용은 얼마인가요???
|
Thu Dec 23 00:00:00 KST 2004
안녕하십니까,
문의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투습도(water vapour permeability)시험은 규정된 온,습도에서 단위시간당 단위면적을 통과하는 수증기의 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g/㎡·h 또는 g/㎡·24h로 나타내는 시험입니다. 주요 시험방법으로는 염화칼슘법(CaCl2 method)과 워터법(Water method)이 있으며, 워터법은 Upright cup법과 Inverted cup법으로 나눠집니다.
염화칼슘법의 시험조건은 시험법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온도가 40, 37.8℃등이고, 습도는 90%입니다.
워터법은 온도가 23, 32, 40℃이고 습도는 50%가 일반적입니다. 이 시험 조건은 의뢰자의 요청에 따라 달리합니다.
두 시험방법의 차이는 온습도 차에서 알 수 있듯이 수증기가 수증기압의 차로 시편을 통과해서 이동하는 경로가 서로 반대로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염화칼슘법은 CaCl2가 흡습제 작용을 함으로써 chamber에서 투습컵으로, 워터법은 투습컵에서 chamber로 수증기가 이동하게 됩니다. 위와 같이 시험하여 투습컵의 중량변화로 결과를 산출하게 됩니다. 시험결과는 위에서 말한 것처럼 g/㎡·h 또는 g/㎡·24h로 표기하게 됩니다.
2. 내수도 시험시 두시험 모두 방수처리된 시료에 대한 시험이지만 저수압법과 고수압법에 각각 다른 기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그 결과값의 단위도 저수압법에서는 mm.H20(cm.H20)이고, 고수압법은 kgf/㎠(psi, kPa)로 결과가 다르게 표기됩니다. 저수압법에서 사용하는 기기는 시험에 따라 Alfred suter사 기기(1500mm.H2O까지 측정가능)와 Textest사 기기(10000mm.H20까지 측정 가능)가 있고, 고수압법은 Mullen Type기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3. 공기투과도의 수수료는 접수담당(02-3451-7104, 5, 8)에게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항상 한국섬유기술연구소 홈페이지를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1. 투습도 시험 시 염화칼슘법과 또 다른 검사법이(water??)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차이점이 무엇인지요???
>
> 2. 내수도 검사 시 저수압법과 고수압법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 3. 공기투과도 검사비용은 얼마인가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