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Q&A

  • 확대
  • 축소
  • 인쇄
KOTITI | 서비스 | Q & A 상세보기

[시험분석] 직물의 위단에 관하여

khsvirgo I 조회수 3906 I 2005.01.27

이메일 :

처리완료
저는 나일론 생산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직물의 위단에 관해 몇가지 알고 싶은 것이 있어 글을 올립니다. 먼저 위단의 발생 요인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중합, 방사, 제직 등의 각 공정에서 위단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또한 위단 발생시 이들의 분석 방법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위단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처방안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KOTITI | 서비스 | Q & A 답변 뷰

답변

Fri Jan 28 00:00:00 KST 2005
안녕하십니까, 위단의 종류와 그 발생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기계단(barre, barre mark, filling band) : 경사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나타나는 색상, 광택 또는 직기의 부조화에 의하여 나타나는 한올 또는 그 이상의 위사가 나타내는 줄모양의 결점. ① 직물에서는 직기의 부조화에 의하여 위사의 타입이 성글어 생기는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연속하여 나타나는 비교적 가는 직단. 송출장치라던가 권취장치의 조절 불량 또는 고장, 직기의 베어링ㆍ축 등의 마멸이라던가 흔들림, 직기의 편기회전이나 설치 불량, 조정 불량 등의 경우에 발생한다. ② 편성물에서는 편기의 부조화, 회전수의 상이 등에 의하여 올의 확대 또는 감소 등 올에 편차가 생겨 전 폭에 걸쳐서 나타나는 편단. 2. 박단(light filling bar, thin bar) ① 직물에서는 위사가 규정 올수 이하로 짜여져 만들어진 바닥이 얇은 직단. 리드캡 또는 리드 플라이백(리드 케이스)의 덜컹거림이라던가 부착불량, 후단과 같은 장치의 불량인 경우 등에 발생한다. ② 편성물에서는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바닥이 얇은 편단, 불균일한 송출사 또는 권취 등에 의하여 생긴다 - 신 바(thin bar) : 위사가 절단 또는 빈 실인 채로 바디침하기 때문에 타입에 부족이 생긴 것 3. 정지단(stop mark, starting mark) : 정전이나 기계의 고장, 원단의 불량을 발견했을 때, 샘플 커터, 오버로드, 로트의 변경 등에 의하여 기계를 정지시킬 때 발생한다. ① 직물에서는 직기의 정지에 의하여 정지한 개소에 밀도 차가 생기기 때문에 발생하는 단. 실의 장력의 변화에 의하여 생긴다 ② 편성물에서는 편기의 정지에 의하여 정지한 개소에 올의 밀도 차가 생기기 때문에 발생한다. - filling change : 앞서 짜여진 위관으로부터 풀림이 끝나고 그 다음에 짜여지는 위관의 시작과의 경계에서 위사 밀도의 차이가 없는 단 또는 위사 편차 이러한 위단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처방안으로는 발생원인이 어떤 것인가를 파악하여 해결하는 것이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4. 직단(weaving bar, weft bar, filling bar) : 위사의 타입 조밀에 의하여 단이 나타나는 것. 주요생성요인으로는 ①직기설치불량으로 진동이 심하다 ②직기의 회전이 동일하지 않다 ③ 바디침 운동에 관련하는 장치의 부적정 ④송출 권취 장치의 불량 등을 들 수 있다 - 관건(管乾), 피열(披裂) : 위사방향의 일부분에 생긴 바닥 갈라진 상태의 갈라진 올 그 외의 답변은 직물을 가지고 직접 본소에 방문하시어 상담하시기를 추천합니다. 항상 한국섬유기술연구소 홈페이지를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저는 나일론 생산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 직물의 위단에 관해 몇가지 알고 싶은 것이 있어 글을 올립니다. > 먼저 위단의 발생 요인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 중합, 방사, 제직 등의 각 공정에서 위단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 또한 위단 발생시 이들의 분석 방법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 마지막으로 위단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처방안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Copyright © KOTITI.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