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Q&A

  • 확대
  • 축소
  • 인쇄
KOTITI | 서비스 | Q & A 상세보기

[시험분석] 원단에 항균 처리 방법문의

chlalst77 I 조회수 3786 I 2005.06.02

이메일 :

처리완료
안녕하십니까. 다름이 아니고 원단에 anti bacteria 처리 가능한지 문의드립니다. 가능하다면 어떠한 방법으로 가공이 되는지요? 항균력은 어느정도 인지요? test합격 기준은 어떤지요? 전에 항균처리 시험자료가 있다면 보고싶은데 가능한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KOTITI | 서비스 | Q & A 답변 뷰

답변

Fri Jun 03 00:00:00 KST 2005
안녕하십니까, 항균방취가공은 섬유제품에 항균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미생물의 서식이나 증식을 억제하여 전염성 질환예방, 악취예방, 섬유의 오염, 변색, 취화방지 등을 목적으로 합니다. 가공방법은 항균약제의 특성에 따라 크게 후처리 가공법과 원사 개량 가공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후처리 가공법으로는 1)반응성 수지를 사용해 섬유 표면에 고착시키는 방법, 2)섬유 표면에 흡착 고착시키는 방법, 3)유기실리콘계 4급암모늄염과 같이 트리메토실기와 섬유의 수산기와의 사이에 탈알코올 반응시켜 항균제를 고정화시키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원사 개량법으로는 1) 나일론이나 아크릴 중합체와 항균제를 혼합한 방사원액을 유기 용제안에 방사하여 증열처리 하는 방법, 2) 재생섬유의 제조과정에서 탈동을 제어하고 섬유안에 동화합물을 미분산시키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원단의 종류와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가공방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주로 사용되는 항균 가공약제로는 무기계 항균제로서 항균성 제올라이트, 섬유에 배위결합한 은계 항균제, 유기실리콘제 4급암모늄계, 기타 천연물계로서 키토산, 아미노글코사이드 등으로 다양합니다. 항균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항균제 성능 자체를 평가하는 방법이 있고 항균제를 가공한 섬유의 항균력을 평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항균 시험법으로는 균수 측정법인 일본의 JIS 1092 시험법이 있으며 이 시험법은 황색포도상구균과 폐렴균을 공시균으로 사용하여 시험편과 대조편에 접종하여 일정량의 배지에 진탕시켜 배양된 세균을 추출, 균수를 측정하는 것으로 보통 정균 활성치 2.2이상 되어야 항균력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한국섬유기술연구소 홈페이지를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안녕하십니까.<br> > 다름이 아니고 원단에 anti bacteria 처리 가능한지 문의드립니다.<br> > 가능하다면 어떠한 방법으로 가공이 되는지요?<br> > 항균력은 어느정도 인지요?<br> > test합격 기준은 어떤지요?<br> > 전에 항균처리 시험자료가 있다면 보고싶은데 가능한가요?<br> > <br> > 답변 부탁드립니다.<br> >
Copyright © KOTITI. All right reserved.